제21대 대선 일반 유권자 코로나,독감 확진자·교통약자 투표하는 법
2025년 5월 29일(목)과 30일(금),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실시됩니다.
출근 전에, 병원 가는 길에, 잠깐 시간을 내서도 참여할 수 있는 사전투표는 특히 코로나19 확진자, 독감 격리자, 고령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에게 더욱 소중한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 일반 유권자의 사전투표 절차
- 확진자 및 격리자의 사전투표 방법
- 교통약자를 위한 투표소 픽업 및 이동지원 서비스
- 지역별 대표 비상연락처 및 활용 방법
1. 사전투표 기본 정보
구분 | 내용 |
---|---|
투표일 |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시간 | 오전 6시 ~ 오후 6시 |
장소 | 전국 사전투표소 (주소지와 관계없이 투표 가능) |
준비물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또는 모바일 신분증 앱 |
유의사항 | 모바일 신분증은 앱 실행 화면으로만 인정됩니다. 캡처는 불인정됩니다. |
2. 일반 유권자 사전투표 절차
- 가까운 사전투표소 방문→ 전국 어디에서나 주소지 관계없이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손도장 또는 서명으로 본인 확인 후 투표지 수령
- 관내/관외에 따라 투표 방식 다름
- 관내 유권자: 투표지를 바로 투표함에 넣습니다.
- 관외 유권자: 회송용 봉투에 넣고 봉함 후 투표함에 넣습니다.
3. 확진자 및 격리자 사전투표 안내
코로나 확진자 및 감염병 격리자도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5월 30일(금) 단 하루, 일반 유권자 투표가 종료된 오후 5시 30분부터 6시까지 별도 시간대에 진행됩니다.
항목 | 내용 |
---|---|
대상 | 코로나19 확진자, 독감 격리자 등 보건당국 격리 대상자 |
투표일 | 2025년 5월 30일(금) |
시간 | 오후 5시 30분 ~ 오후 6시 |
준비물 | 신분증, 방역지침 준수, 격리자 여부 확인 절차 |
이동수단 | 도보, 자차, 보호자 동행 가능 / 대중교통 이용 불가 |
※ 마스크 착용 및 거리두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일반 유권자와 투표 공간을 분리하여 진행됩니다.
4. 교통약자 사전투표 이동 지원 서비스
고령자, 장애인, 임산부 등의 경우선거 당일 또는 사전투표일에 이동이 어려우실 수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아래와 같은 이동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교통약자 이동지원 요약
항목 | 내용 |
---|---|
대상 | 1~2급 등록 장애인, 7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 등 |
지원 방식 | 휠체어 탑승 차량, 셔틀 운행, 도우미 동행, 픽업 서비스 |
이용 방법 | 관할 지자체 또는 선관위에 사전 예약 신청 필수 |
신청 마감 | 지역에 따라 상이하나 대부분 사전투표 2~3일 전까지 접수 마감 |
5. 지역별 비상 호출 전화 대표 안내
각 지역별로 이동이 불편하신 유권자를 위해 비상 호출용 연락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경우 사전투표 당일 해당 번호로 전화하시면 차량 배정 및 이동보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 | 연락처(예시) | 비고 |
---|---|---|
서울특별시 선관위 | 02-765-5800 | 교통약자 전용 콜 운영 |
부산광역시 선관위 | 051-860-1900 | 장애인 셔틀 차량 운영 |
대구광역시 선관위 | 053-939-4300 | 도우미 지원 가능 |
광주광역시 선관위 | 062-520-0700 | 복지관 연계 픽업 |
대전광역시 선관위 | 042-483-4300 | 휠체어 이동 차량 운영 |
경기도 선관위 | 031-256-9000 | 시·군별 분산 대응 |
강원특별자치도 | 033-255-0100 | 이동지원 신청 연계 가능 |
제주특별자치도 | 064-710-0400 | 도우미 매칭 가능 |
※ 위 번호는 대표 전화이며, 상세 지역별 번호는 해당 시·군·구청, 복지관, 주민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맺음말 – 누구에게나 평등한 한 표, 제대로 행사하시기 바랍니다
투표는 단순한 권리를 넘어서, 사회적 책임이며 미래를 만드는 선택입니다.
누구나 투표소에 가야만 할 이유는 없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투표에 참여할 권리는 동등하게 누려야 합니다. 건강, 거리, 교통 문제로 투표를 망설이셨던 분들도 이번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준비한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이로운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1대 대통령선거 완벽 가이드 : 사전투표, 전입신고, 해외투표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05.21 |
---|---|
문수대통펀드 가입법·수익구조·주의사항 총정리 (2025) (0) | 2025.05.20 |
2025 행복주택 전세대출 및 입주 조건 확인하세요. (0) | 2025.04.16 |
2024년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하기 (0) | 2024.09.02 |
2024 국가 근로장학금 2차 신청하기 (0) | 2024.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