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가족과 국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았던 시대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는 사실을 짐작해야 한다. 
    가족은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국가는 하나의 생활 공동체이다.라고 했다. 따라서 공동체 중에서 가장 으뜸이 되어 다른 공동체 모두를 포괄하는 특정한 공동체가 있다면 이는 가장 좋은 목적을 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다른 학문 분야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국가를 연구하기 위해서 국가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을 분석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의 기본이 되는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첫째는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이성의 결합이다. 즉 후세의 종족을 번식하기 위한 남자와 여자의 결합을 뜻한다.

    둘째로는 함께 존속하기 위한 자연적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결합이다. 가족은 사람들의 일상에서 되풀이되는 필수품 보급을 위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맨 처음의 공동체이다. 가족 다음의 형태는 매일 되풀이되는 필수품이상의 다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락'을 들 수 있다. 결론족으로 맨 처음의 공동체는 가족, 한 가족 이상이 모여 이루는 최초의 사회는 부락! 그리고 촌락이 자급자족할 수 있게 되면 부락들이 모여 더 크고 단일적이며 완성된 생활 공동체에 도달하게 된다고 했다. 그 완성된 공동체가 바로 '국가'이다. 따라서 국가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공동체들의 가장 높은 단계이면 완성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은 본래 어떤 공동체를 이루려는 잠재적인 충동이 있기 때문에 국가에서 살아야 하는 사회적 동물이다. 사람만이 선과 악, 정의와 불의, 또는 다른 비슷한 성질들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사람들 사이에 공통되는 인식 때문에 가족이나 국가가 형성된다. 이로써 사람은 국가의 일부이며 국가의 정의를 통해 구원을 받는다. 

    다음으로 가족은 가족의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요소로 주인과 노예, 남편과 아내, 부모와아이들의 관계, 이 세 가지로 보았다. 그리고 그 밖에 한 가지 요소는 '재산을 얻는 기술'이라고 생각했다.

    재산은 가정의 일부이며 재산을 취득하는 기술은 가정운영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누구나 생활필수품의 공급을 받지 않고서는 잘 살 수 없거나 살 수 조차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재산이란 생활을 위한 도구들을 모두 합한 것을 말한다. 가정에 있어서 노예는 생명이 있는 재물이고 또한 도구로서의 노예는 활동을 위한 도구이므로 생산하는 도구들보다 위에 있다고 했다. 노예의 본성과 성질은 첫째, 타인에게 속하는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노예의 본성이 있다. 둘째, 누구든지 재산의 품목에 드는 사람은 타인의 소유물이다. 셋째, 재산에 속하는 노예는 행동을 목적으로 하는 도구이며 남에게 양도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이에 따라 과연 자연적으로 원래 노예인 사람인 정말 있을 수 있는 것인지, 그러한 자에게는 노예라는 신분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 그리고 노예제도는 자연에 역행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결론은 주인과 노예의 관계인 지배, 피지배의 관계는 필연적이라는 것이었다. 게다가 태어날 때부터 지배하도록 되어있는 집단과 지배를 당하도록 되어 있는 집단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생명이 영환과 육체로 나누어지고 영혼이 육체를 지배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어떤 존재이든 지배와 피지배의 요소는 항상 함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영혼과 육체, 인간과 동물사이에 구별이 있는 것처럼 신분이 낮은 부류는 천성적으로 노예이며, 이들이 주인의 지배하에 있는 것은 그들을 위해서도 더 좋다고 생각했다. 

    주인과 노예사이에는 각자 자신들의 위치를 자연적으로 차지했을 때 공통의 이해관계와 우정의 관계가 성립한다. 단지 그 관계가 법과 힘에만 의존하는 것은 반대로 갈등과 적대관계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모든 종류의 권위는 같은 것이 아니다. 정치가의 권위는 자연적으로 자유인에게 행사되는 것이고, 노예주인의 권위는 자연적인 노예에게 행사되는 것이다. 가장의 경우에는 군주의 권위와 같다. 이는 가정이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것처럼 한 사람의 지배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정치가의 권위는 자신과 동등한 자유인들에게 행사하는 권위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노예제도가 있던 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당시 시대상 정도로 받아들여야 한다)

    노예에 대한 견해처럼 이후에도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당시 사회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점을 보여준다.

    <정치학>에서 말하는 가정운영의 기술과 재산을 획득하는 기술은 같은 것이 아니다. 가정운영의 기술이란 바로 가정의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다루는 일이다. 따라서 모는 획득의 기술은 가정운영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재산의 획득 방법에는 첫 번째는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것이고 또 하나는 경험과 기술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국가는 가정과 같지만, 그보다 더 재물을 얻는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국가가 가정보다 재원이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가정을 운영하는 것은 세 가지로 하나는 노예를 다스리는 것, 두 번째는 부모로서의 권위를 행사하는 것, 세 번째는 남편으로서의 권위를 행사하는 것이다. 가정 운영은 재산보다는 사람들과 더 관련되어 있고, 재산을 잘 유지하는 것보다 사람들을 잘 유지하는 것에, 노예의 덕성보다는 자유인의 덕성에 더 많은 관련이 있다고 했다. 또한 노예에 대한 이야기에서 본 것처럼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생각하는 선의 개념은 다른 것이기 때문에 하나는 지배적이고 다른 하나는 피지배적이기 마련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모든 곳에는 지배와 피지배적 요소가 공존하면 가정과 국가도 예외는 아니라고 했다.

     

     

    '이로운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민과 국가란  (0) 2023.02.09
    이상국가란 무엇인가  (0) 2023.02.08
    정치학을 연구한 아리스토텔레스 주의란  (0) 2023.02.06
    고대 인류의 석학  (0) 2023.02.05
    158개의 정치체계 정치학  (0)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