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5
정치질서의 변화와 혁명에 대처하는 정치학이란
정치 질서를 파괴하는 원인에 대해 첫째, 모든 준법 행위를 잘 감시하며 특히 하찮은 형태의 불법 행위에 주의해야 한다. 하찮은 형태의 불법 행위는 마치 작은 지출일지라도 계속 되풀이하면 점차 모든 재산을 써버리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전체 또는 모든 합은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찮은 불법 행위를 방지해서 처음부터 말썽을 없애도록 해야 한다. 둘째로, 민중을 속이기 위한 어떠한 책략들도 결코 믿어서는 안 된다. 셋째, 어떤 나라에 대해 그 정치 체제 안정성의 진정한 원인이 정치 체제 자체의 견고함에 있다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그것보다는 지배자들이 참정권이 없는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덕분임을 알아야 한다. 넷째로는, 정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국가의 먼 위..시민 계급, 중산층에 철학자의 견해
아리스토텔레스는 계급의 규모는 가능하다면 다른 계급을 합한 것보다 더 강할 정도로 크거나, 적어도 두 계급 중 어느 하나보다는 더 강할 정도로 커야 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이런 경우에 어느 한쪽에 중산층 계급이 가세하면 힘의 균형을 잃게 될 것이고 서로 적대하는 두 극단 중의 어느 하나가 지배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국가의 구성원들이 알맞은 재산을 갖고 있는 것이 국가로서는 가장 다행스러운 경우로 보았다. 만약 어떤 사람들은 재산이 많고 다른 사람들은 재산이 상대적으로 없는 경우, 결과적으로 극단적인 민주주의가 단순한 과두정치로 변질되거나 이에 대한 반발로 참주정치가 생겨날 수 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중산층 계급이 높을 경우에는 시민들 사이의 ..시민과 국가란
●시민 앞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던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국가 또는 국가라는 것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이루어진 '전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가를 구성하는 것은 시민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를 논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본질을 알아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시민이란, '관직과 법정의 운영에 참여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즉, 임기가 일정하지 않는 관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시민을 '어버이가 모두 시민인 사람'으로 정의하고 어버이 가운데 어느 한쪽만 시민인 자는 시민이 아닌 것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그렇게 따진다면 국가를 처음 만든 사람이나 그 국가에 처음으로 살았던 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또한 부당한 절차로 시민이 된 사..이상국가란 무엇인가
이상국가에 대한 견해 그렇다면 과연 가장 이상적인 생활방식을 위해 가장 좋은 형태를 가진 정치공동체는 어떤 것일까? 그는 먼저 다른 형태의 정부들을 세 가지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모든 국민이 모든 물건을 공동으로 소유하는가? 둘째, 아무것도 공유하지 않는가? 셋째, 어떤 것은 공유하고 어떤 것은 공유하지 않는가? 그의 생각으로는, 두 번째 경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첫 번째와 세 번째의 경우만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했다. 우선 플라톤의 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이상적인 정부에서 보면 '가능한 최대한의 일치성이 있는 국가가 가장 좋다.'라고 했다. 하지만 국가의 극단적인 획일화는 좋지 않다고도 했다. 국가는 여러 종류의 집합체이기 때문이다. 국가는 국가의 구성원들이 각기 다른 능력을 사용함으로써 서..가족과 국가에 관한 정치학
가족과 국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았던 시대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는 사실을 짐작해야 한다. 가족은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국가는 하나의 생활 공동체이다.라고 했다. 따라서 공동체 중에서 가장 으뜸이 되어 다른 공동체 모두를 포괄하는 특정한 공동체가 있다면 이는 가장 좋은 목적을 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다른 학문 분야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국가를 연구하기 위해서 국가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을 분석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의 기본이 되는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첫째는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이성의 결합이다. 즉 후세의 종족을 번식하기 위한 남자와 여자의 결합을 뜻한다. 둘째로는 함께 존속하기 위한 자연적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결합이다. 가족은 사람들의 일상에서 되풀이되는 필수품 보급..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