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로운 철학27

플라톤의 국가론

올바름의 의미 - 소크라테스와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는 가난한 시민& 플라톤은 귀족정치가 집안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최고 권력자들의 친구이자 스승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17세에 54세의 플라톤을 만났는데, 두 사람의 관계는 플라톤이 죽을 때까지 20년 동안 지속되었다. 플라톤이 아리스토텔레스를 성장시켰다고 해도 틀리지 않겠지만 두 사람의 취향은 달랐다. 플라톤은 자기보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많은 책을 가진 아리스토텔레스를 항상 부러워했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이고 다른 의견을 내놓기는 했지만 스승을 배반하지는 않았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기록으로 남겼다가 유럽인들에게 넘겨준 사람은 이슬람교도들이었는데 플라톤의 철학은 전 우주의 영역까지 모든 철.. 이로운 철학 2023. 5. 7.

플라톤의 국가

은 플라톤의 위대한 저서이자 방대한 양의 저술로도 유명하다. 원제목은 이다. 모두 10권이고 형이상학, 정치사상, 예술론 등의 다양한 주제가 있다. BC 5세기는 중국의 공자, 인도의 석가모니,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활동하던 시대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다. 플라톤은 스무 살 즈음 친척 어른의 소개로 소크라테스를 알게 되었다. 당시 아테네는 귀족 중심으로 정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플라톤도 정치가로 성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고, 좋은 정치가가 있어야 좋은 정치를 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사형당하는 모습을 보고 정치에 대한 미련을 버리게 되었다. 소크라테스가 사형당한 것은 신(神)을 모독하고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이유였다. 이때부터 플라톤은 인간존.. 이로운 철학 2023. 3. 19.

국가기원론

국가 기원론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그 모두가 가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 기원론이 무엇을 강조하고 있는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데, 이데올로기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것과 그 기원의 역사적 설명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ㅇ 신의성 : 국가는 신의 창조에 의해 생겨나거나 신의 명령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설이다. 국민에게 절대복종을 강요하는 신학적 국가론이다. o 계약설 : 국가 생성의 기초를 인간의 계약에 두는 설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운 자신의 생명과 재산의 유지, 자유의 보장 등을 얻기 위해 국가를 구성하게 되었다는 이론이다. ● 재산설 : 국가가 토지 사유권과 더불어 발생했다는 설로, 중세 봉건 시대에 강조되었다. ㅇ 실력설 : 국가가 종족 간의 투쟁과 정복으.. 이로운 철학 2023. 3. 5.

플라톤의 국가론 - 네 가지 나쁜 국가

플라톤의 네 가지 나쁜 국가 플라톤은 네 가지 나쁜 국가로 명예 정체 · 과두 정제 · 민주 정체 · 참주정체를 꼽았는데, 이 정체는 통치자 정체가 차차 쇠퇴해서 생기는 형태들이다. 그리고 이런 정체의 유형에 상응하는 인간유형도 있음을 지적했다. 명예 정체 통치자 정체와 과두 정체 사이의 통치 형태로, 체육과 전쟁 훈련에 정성을 다하고 승리와 명예를 우선시한다. 따라서 지혜로운 사람들을 관직에 두려 하지 않는다. 이 정체에는 이성적인 것도 다 격정적인 것이 우세하고 과두 정책의 특징인 축재의 욕구도 나타난다. 과두정체 과두 정체는 명예 정체에서 상업과 돈을 중요시하면서 생겨난다. 부자들은 재산을 소비할 길을 찾다가 법을 위반하고 싸우게 된다. 또한 부자들이 통치하고, 가난한 자는 통치당하다 대립하게 된다.. 이로운 철학 2023. 3. 3.

철인왕의 정치 형태

플라톤은 이데아의 세계에 대한 상상을 지상에 실현하기 위해 을 썼는데, 여기에 이상 국가가 등장한다. 플라톤이 생각한 이상 국가는 선의 이데아를 실현 할 훈련된 사람 (철인왕)이 통치하는 국가로 민주주의 국가가 아닌 귀족 정치라고 하는 우수한 수호자들이 지배하는 국가라고 할 수 있다. 플라톤의 이상 국가는 계급 사회인 것이다. 우선 계급을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는 금의 영혼을 지닌 수호자 둘째는 은의 영혼을 지닌 군인 셋째는 철의 영혼을 지닌 농부와 장인 수호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재능이 뛰어난 자를 골라 신체 단련과 함께 다양한 학문을 교육시키고 이 중에서 뛰어난 자를 골라 수호자 신분에 들게 한다. 이들은 완전한 수호자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고 15년 동안 높은 관직에 종사한다. 50세 때 관직에서.. 이로운 철학 2023. 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