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운 철학27
알렉산드로스대왕 소크라테스 플라톤의 관계
알렉산드로스대왕 (Alexandros the Great)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BC382~BC336)와 올림피아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리스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한 왕으로,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를 융합시킨 새로운 헬레니즘 문화를 이룩하였으면 알렉산더 대왕 또는 알렉산드로스 3세라고 불린다. 그리스의 작가플루타르코스는 "올림피아스가 벼락이 배에 떨어지는 꿈을 꾸고 임신하였다." 또는 "필리포스가 아내의 곁에 있는 뱀을 보았다." 등의 전설적인 이야기로 그의 탄생에 대해 전했다. 알렉산드로스대왕의 어린 시절,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대학자로 유명했고 필리포스 2세는 자신의 아들을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를 아들의 스승으로 초빙하였다. 그리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마케도니아 수도인 펠라에..정치학에 드러난 한계성과 극복할 수 있는 참된 교육을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이 모든 것들이 조화되어 이상적인 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교육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며 특히 무엇보다 먼저 젊은이의 교육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교육을 소홀히 하는 것은 정치 제제를 해롭게 한다. 이미 성장하여 시민이 된 사람들보다 앞으로 시민이 될 어린이들을 교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훌륭한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교육을 잘 받아야 한다. 또한 도시 전체는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행해져야 한다. 즉 모든 사람이 자기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종류의 교육을 아이들에게 개인적으로 시킬 것이 아니라 국가라는 공공의 이해관계를 위해서는 교육은 누구에게나 모두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은 보통 읽기..정치질서의 변화와 혁명에 대처하는 정치학이란
정치 질서를 파괴하는 원인에 대해 첫째, 모든 준법 행위를 잘 감시하며 특히 하찮은 형태의 불법 행위에 주의해야 한다. 하찮은 형태의 불법 행위는 마치 작은 지출일지라도 계속 되풀이하면 점차 모든 재산을 써버리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전체 또는 모든 합은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찮은 불법 행위를 방지해서 처음부터 말썽을 없애도록 해야 한다. 둘째로, 민중을 속이기 위한 어떠한 책략들도 결코 믿어서는 안 된다. 셋째, 어떤 나라에 대해 그 정치 체제 안정성의 진정한 원인이 정치 체제 자체의 견고함에 있다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그것보다는 지배자들이 참정권이 없는 사람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덕분임을 알아야 한다. 넷째로는, 정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국가의 먼 위..시민 계급, 중산층에 철학자의 견해
아리스토텔레스는 계급의 규모는 가능하다면 다른 계급을 합한 것보다 더 강할 정도로 크거나, 적어도 두 계급 중 어느 하나보다는 더 강할 정도로 커야 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이런 경우에 어느 한쪽에 중산층 계급이 가세하면 힘의 균형을 잃게 될 것이고 서로 적대하는 두 극단 중의 어느 하나가 지배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국가의 구성원들이 알맞은 재산을 갖고 있는 것이 국가로서는 가장 다행스러운 경우로 보았다. 만약 어떤 사람들은 재산이 많고 다른 사람들은 재산이 상대적으로 없는 경우, 결과적으로 극단적인 민주주의가 단순한 과두정치로 변질되거나 이에 대한 반발로 참주정치가 생겨날 수 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중산층 계급이 높을 경우에는 시민들 사이의 ..시민과 국가란
●시민 앞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던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국가 또는 국가라는 것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이루어진 '전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가를 구성하는 것은 시민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를 논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본질을 알아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시민이란, '관직과 법정의 운영에 참여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즉, 임기가 일정하지 않는 관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시민을 '어버이가 모두 시민인 사람'으로 정의하고 어버이 가운데 어느 한쪽만 시민인 자는 시민이 아닌 것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그렇게 따진다면 국가를 처음 만든 사람이나 그 국가에 처음으로 살았던 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또한 부당한 절차로 시민이 된 사..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