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로운 철학27

향연에서 펼친 소크라테스의 연애관

은 소크라테스의 열렬한 제자인 아폴로도로스가 친구로부터 들은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를 옮겨놓은 이야기이다. 아폴로도로스는 매우 부유한 집안 출신이고 성격이 워낙 다혈질이고 비판적이었지만, 그가 유일하게 인정한 사람은 소크라테스 한 사람뿐이었다. 소크라테스는 아가톤(아테네의 극작가)의 향연에 참석했다. 아가톤의 향연은 식사 후 아테네의 여러 신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였다. 에로스와 선과 미에 대해 논했는데 파이도로스와 에릭시마코스가 에로스야말로 가장 오래된 신이자 아름다움을 동시에 가진 신이라고 했다. 에릭시마코스와 아카톤은 에로스가 선을 사랑하는 신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선을 사랑하기 때문에 부정한 자를 멀리하고 아름다움을 찾는다고 주장했다. 에릭시마코스는 아테네에서 의사로 활동하던 의료인이었다... 이로운 철학 2023. 2. 25.

죽음에 직면한 대 철학자의 면모

소크라테스는 영혼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이 태어난다고 믿었다. 사람의 영혼은 신이 내려주었고 그 영혼이 영혼의 감옥이라 불리는 육신으로부터 분리되면 다시 신에게로 간다. 당연히 악한 일을 하면 신이 그 사람을 거부한다. 그 사람의 영혼은 이 지구를 떠돌게 될 것이다. 육체란, 다만 신께서 영혼이 천국에 갈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하기 전까지 머무는 공간일 뿐이다. 상기설과 관련이 있는데 상기설은 무언가를 보고 다른 존재를 기억해 낸다는 이론이다. 사람은 쾌락이 있으면 고통이 있다. 쾌락을 떠올리면 고통이 따라올지 모른다고 두려워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선과 악, 미와 추, 사유와 약탈 등등 모든 것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상기설이 정설이라고 했다. 에서는 계속 영혼과 죽음에 대한 의.. 이로운 철학 2023. 2. 25.

소크라테스에게 탈출을 권유하는 크리톤

편에서는 사형 판결을 받은 소크라테스를 찾아온 절친한 친구 크리톤이 탈출을 권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3장에는 소크라테스가 자기 죽음을 앞두고 오히려 밝은 분위기로 자신의 넓은 세계관과 사회적 관계에 관해 설명하는 내용이 자세히 적혀있다. 크리톤은 소크라테스를 살리려고 사형집행 직전까지 계속 찾아왔다. 소크라테스는 사형이 한 달 전에 확정이 되었는데 델로스로 배가 떠나면 돌아올 때까지는 사형을 금하게 되어 있었다. 델로스난 섬은 아폴로 신의 고향으로 아테네 사람들은 신에 대한 감사와 경의를 표현하기 위해 배를 띄우는데 이 때문에 사형을 금지했다. 크리톤은 능력가의 부자라서 거의 못 하는 것이 없어 교도소도 자주 드나들 수 있었다. 크리톤과 친구들은 끝까지 탈출을 권유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탈.. 이로운 철학 2023. 2. 23.

소크라테스의 변명

아니토스 파의 입장에선 시민들의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소크라테스야말로 정말 골치 아픈 존재였다. 소피스트들 조차 자신들보다 많은 지지를 받는 소크라테스를 싫어했고, 아니토스의 민주정치에 반감을 가진 참주들과 부유층 젊은이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실패했다. 그때 부유층 젊은이들이 소크라테스의 제자들이었다. 아니토스파와 그 추종자들은 소크라테스가 신성을 모독하고 젊은이들을 꼬드겼다는 죄목을 씌웠다. 소크라테스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고 결국 재판정은 1차 표결에서 280대 220으로 소크라테스에게 유죄판결을 내렸고, 두 번째 표결에서는 더욱 압도적인 표 차인 360대 140으로 사형을 선고했다. 정의를 위해 선택한 죽음 소크라테스는 당시 대권력가 아니토스의 사주를 받은 멜레토스의 모함을 받아 재판을 받았다. 소크.. 이로운 철학 2023. 2. 22.

철학의 방법, 산파술

소크라테스는 아고라 광장에서 수많은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상대방과 끊임없이 질문하고 대답하는 이 방식을 문답법 또는 '산'이라고 한다. 소크라테스의 어머니는 아이 낳는 것을 도와주는 산과였는데 그래서인지 자신의 철학을 지적 산파술이라고 말했다. 지적 산파술이란 이미 안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 대화를 통해 그동안 아무런 반성 없이 지식이라고 생각되었던 것이 참된 것인지 그릇된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도와주는 대화의 방법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잘못된 지식을 옳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자만에 빠져 있다면 소크라테스는 대화를 통해서 그 사람 자신의 지식에 모순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도록 하고 무지를 깨닫게 해 주었다. 소크라테스의 산파 중 특이한 점은 대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결혼이나 답변을 내리지 않고 화가 끝.. 이로운 철학 2023. 2. 21.
반응형